삼해주(三亥酒)는 고려 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궁중 술로, 조선시대에 순조(재위 1800~1834)의 딸인 복온공주가 안동 김씨 댁에 시집오면서 그 가문에 대대로 이어져 내려오게 되었다고 한다.
정월 첫 돼지날(亥日)에 담기 시작하여 돼지날마다 세 번에 걸쳐 빚는다고 해서 삼해주라고 하는데 그 기간이 100여 일 걸린다고 하여 백일주라고도 하며, 정월 첫 돼지날에 담가 버들가지가 날릴 때쯤 먹는다고 하여 유서주(柳絮酒)라고도 부른다.
『동국이상국집』, 『산림경제』 등의 문헌에 그 제조 방법이 기록되어 있는데, 서울로 들어오는 쌀이 삼해주를 담그는데 쏠리지 않도록 막아달라는 상소의 기록이 보일 정도로 조선 시대에 널리 제조되었으며, 그 방법도 매우 다양하다. 삼해주는 쌀과 누룩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데, 먼저 정월 첫 돼지날에 백미 두말을 가루로 만들어 끓는 물을 넣고, 누룩가루와 밀가루를 섞어 독에 넣는다. 둘째 돼지날에는 쌀을 익혀서 끓는 물과 섞고 난 후 전에 넣었던 독에 다시 넣고, 셋째 돼지날에는 찹쌀을 쪄서 끓는 물을 식혀 넣었다가 버들가지가 나올 때 비로소 쓰게 된다. 쌀과 누룩을 원료로 하여 만든 삼해주는 은은한 맛을 비교적 오래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용수를 받아 맑은 술을 떠내는 약주와 약주를 만든 뒤 증류 과정을 거친 소주가 있다.
1993년 2월 25일 보유자로 지정된 이동복씨는 2014년 4월 17일 명예보유자가 되었고, 2024년 9월 15일 별세하였으며, 2017년 11월 16일 보유자로 지정된 김택상씨가 2021년 8월 5일 별세하여 현재 보유자는 없는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