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무형문화재 교육전시장에서 진행되는
교육과 체험, 전시를 소개합니다.

일반교육프로그램

일반교육 | [옻칠] 나전 색칠 트레이 만들기 (심화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울무형문화재교육전시장 작성일19-07-30 11:12 조회11,027회 댓글0건

본문

  • 교육명 : [옻칠] 나전 색칠 트레이 만들기 (심화반)
  • 년도 : 2023
  • 강사명 : 손문규(전승교육사)
  • 신청기간 : 2023-07-18 ~ 2023-07-31
  • 교육기간 : 2023-08-02 ~ 2023-11-29
  • 교육일시 : 수요일 10:00~13:00 (총 18회)
  • 장소 : 서울무형문화재 돈화문 교육전시장
  • 수강인원 : 6
  • 재료비 : 15만원
  • 교육내용 :


    [주차별 수업내용]

    - 수업내용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 이 수업은 '옻칠 기초반'을 수강한 분만 수강신청이 가능합니다. 


    주차

    수업내용

    1주차

    오리엔테이션 : 옻칠의 이해와 강의 내용 설명

    2주차

    쟁반 세트 생칠 : 쟁반 생칠하기

    3주차

    쟁반 세트 삼베 바르기 : 삼베 재단하기 및 1차 삼베 바르기

    4주차

    삼베 바르기 : 2차 삼베 바르기

    5주차

    삼베 등 다듬기 및 토회 바르기 :

    삼베 등 거친면 다듬기, 사포치기, 1차 토회 바르기

    6주차

    삼베 등 접칠 : 1차 삼베 등 접칠하기, 토회면 사포

    7주차

    삼베 등 접칠 :

    삼베 등 사포치기, 삼베 등 2차 접칠하기, 앞면 토회 바르기

    8주차

    삼베 등 접칠 : 3차 삼베 등 접칠하기, 뒷면 토회 바르기

    9주차

    삼베 등 접칠 : 4차 삼베 등 접칠하기, 토회면 사포

    10주차

    삼베 등 접칠 : 5차 삼베 등 접칠하기, 옆면 토회 바르기

    11주차

    나전 장식 : 문양 디자인 선택, 자개 선별

    12주차

    나전 장식 : 문양 자개 본뜨기, 자개 문양 오리기

    13주차

    나전 장식 : 자개 문양 오리기, 붙임질

    14주차

    나전 장식 칠하기 : 붙임질, 지짐질, 풀빼기, 초칠하기

    15주차

    나전 장식 칠하기 : 중칠하기

    16주차

    나전 장식 칠하기 : 상칠하기

    17주차

    나전 장식 등 긁기 : 상칠 후 나전 위 칠 긁기

    18주차

    쟁반세트 마감 및 평가하기

    

    ※ 개인준비물 : 필기도구, 앞치마, 팔토시

    

    ​[최소인원] 

    신청인원이 3명 미만일 경우 개강하지 않습니다.


     

    ​[재료비 납부] 

    - 재료비는 첫 수업 때 납부계좌를 공지합니다. 

    - 재료비는 교육전시장 시설이 아닌 선생님들에게 직접 납부하는 금액입니다.

    - 선생님의 개인계좌로 이체 혹은 현금 납부만 가능합니다. (카드결제 불가)

    - 재료비 납부가 완료되어야 수강신청이 최종완료 됩니다.

    재료비 환불은 불가합니다.

    재료비를 납부한 이후 선생님이 해당 인원수 만큼 재료를 구입하기 때문에 재료비 환불은 불가합니다.



    ​[수강신청 후 절차] 

    - 8월 첫째주 수업 요일에 교육전시장으로 나오시면 됩니다. 첫 수업 날짜가 변경된 경우 미리 연락을 드릴 예정입니다.  

    - 첫 수업 참여 및 재료비 납부 후 최종 수강신청이 완료됩니다.

    첫 수업 미출석시 자동으로 취소됩니다개인적 사유로 수업을 들을 수 없는 경우 사전에 취소해서 다른분들에게 수강 기회가 돌아갈 수 있도록 협조 바랍니다. 


     

    ​[교육수료증 발급]  

    - 14회 이상 수업에 참여하신 분들에게 '교육수료증'을 발급해드립니다.

    - 교육수료증은 수업 마지막 날 배부합니다.



    [중복수강안내] 

    ​- 한 수업당 최대 수강횟수는 2회입니다. 

    - 2회를 초과하여 수업을 듣고 싶은 경우, 대기자 신청은 가능하며 정원 미달 시 수강할 수 있습니다.



    ​[수강신청 대기] 

    - 수강인원이 마감된 종목들은 아래에 '수강신청' 버튼이 보이지 않습니다. 

    - 대기를 원하는 분들은 '소식·참여 - 수업대기신청'란에 신청해주세요.  

    - 여석이 생기는 즉시 대기 순서대로 전화를 드립니다.